반응형
2025년 고양시 임신·출산·양육 지원 혜택 총정리
고양시는 출산 가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필요한 혜택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1. 첫만남이용권
- 지원대상: 출생신고를 마치고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
- 지원금액: 첫째아 200만 원, 둘째아 이상 300만 원
- 신청방법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, 정부24(www.gov.kr), 또는 주소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
- 사용기간: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
- 사용처: 유흥업소·사행업소 등 제외하고 폭넓게 인정
2. 출산지원금
- 지원대상: 출생신고일 기준 1년 이전부터 고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한 출산 가정
- 지원금액:
- 첫째 자녀: 100만 원
- 둘째 자녀: 200만 원
- 셋째 자녀: 300만 원
- 넷째 자녀: 500만 원
- 다섯째 자녀 이상: 1,000만 원
- 신청기한: 출생신고일부터 1년 이내
- 신청방법: 정부24(www.gov.kr) 또는 주소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
- 지급시기: 신청일이 속한 달의 다음 달 마지막 날
3. 탄생축하 쌀 케이크 지원
- 지원대상: 고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 중인 모든 출산 가정
- 지원물품: 우리쌀, 우리밀로 만든 케이크 및 쿠키류 13종 중 택 1 + 고양 가와지쌀 150g
- 신청기한: 출생신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
- 신청방법: 정부24(www.gov.kr) 또는 주소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고양시청
4. 다복꾸러미 지원
- 지원대상: 셋째 이상 자녀를 출산한 고양시 거주 출산 가정
- 지원물품: 패키지 4종 중 택 1 (플레이매트, 오가닉 아기옷 세트, 국산 들기름, 큰 담요 등)
- 신청기한: 출생신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
- 신청방법: 정부24(www.gov.kr) 또는 주소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
5. 산후조리비 지원
- 지원대상: 경기도 거주 출산 가정 (부 또는 모가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)
- 지원금액: 출생아 1인당 50만 원 (고양페이로 지급)
- 신청기한: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내
- 신청방법: 경기민원24(gg24.gg.go.kr) 또는 주소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고양시청+1양육종합지원센터+1
6.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
- 지원대상: 고양시에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등록이 된 출산 가정
- 지원내용: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사 파견 서비스 제공 (서비스 기간, 단태아/쌍태아 여부 등에 따라 지원금액 상이)
- 신청기간: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
- 신청방법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경기민원24+18kitchenbuild+18하남시청+18
7. 출산가구 전월세자금 대출이자 지원
- 지원대상: 무주택 출산 가구로,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인 가구
- 지원내용: 주택 전월세자금 대출잔액의 1.8%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 1회 최대 100만 원 한도로 지원
- 신청방법: 주소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Facebook+10연합뉴스+10고양시청+10고양시청
8. 모바일 고양다자녀e카드
- 발급대상: 고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며, 막내 자녀가 19세 미만인 두 자녀 이상 가정의 부모
- 발급방법:
- '경기똑D' 앱 또는 '고양다자녀e카드' 앱 다운로드
- 본인인증 후 카드 발급
- 카드혜택: 고양다자녀e카드 제시 시 협력업체에서 할인 혜택 제공
- 유효기간: 카드 발급 해당 연도의 12월 31일까지 (매년 1월 1일 기준 재발급)
저도 첫 출산을 앞두고 정보 찾느라 정말 애먹었는데,
막상 정리해보니 고양시에서도 꽤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더라고요.
특히 산후조리비, 출산지원금, 첫만남이용권은 빠르게 신청해야 놓치지 않으니
혹시 주변에 임신·출산 예정이신 분들이 있다면 꼭 공유해주시길 바랍니다.
저처럼 처음 준비하시는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되었기를 바라며,
혹시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 확인되는 대로 빠르게 답변드릴게요!
💡 “정보는 많지만, 제대로 알려주는 곳은 드물다”는 걸 임신하고 나서야 알았어요.
2025년 최신 혜택, 놓치지 마세요.

반응형
'니니의 정부지원혜택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노원구 임신·출산 혜택 정리: 서울 출산율 3위 구의 이유 (0) | 2025.04.21 |
---|---|
2025 성동구 임신·출산 혜택 총정리|출산축하금·보육료·산후조리비 지원 (0) | 2025.04.17 |
2025 동작구 임신·출산 혜택 총정리|출산축하금·보육료·산후조리비 총정리 (0) | 2025.04.17 |
장기요양등급 받으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은? 노인요양보험 정부지원 총정리 (0) | 2025.04.10 |
기초연금 vs 국민연금, 차이점 제대로 알기!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연금 가이드 (0) | 2025.03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