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 노원구 임신·출산 혜택 총정리 (서울 출산율 3위 자치구)
서울에서 출산율이 높은 동네를 꼽으라면 의외로 노원구가 상위권이다. 2025년 기준으로 성동구, 구로구에 이어 세 번째. 막연한 이미지와 달리, 실질적인 정책이 촘촘하게 마련돼 있다는 증거다.
올해 달라진 내용들도 꽤 있어서, 이참에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다시 정리해두기로 했다. 신청 시기 놓치면 못 받는 경우도 많으니 개인적인 기록용으로도, 정보 공유용으로도 유용할 듯하다.
① 첫만남 이용권 (200만 원)
출생아 1명당 200만 원이 국민행복카드에 지급된다. 분유, 기저귀, 유아용품, 산후조리원 등 사용 가능.
신청: 복지로(bokjiro.go.kr) 또는 주민센터
기한: 출생 후 60일 이내
② 출산지원금
서울시 공통 정책. 노원구도 해당된다.
- 첫째: 20만 원
- 둘째: 30만 원
- 셋째 이상: 50만 원
신청: 복지로 또는 서울시 임신출산정보센터
③ 서울형 산후조리비 지원 (최대 300만 원)
2025년부터 서울시 산후조리비 지원이 확대되었다. 조건 충족 시 일반가정도 가능.
- 단태아: 100만 원
- 쌍태아: 200만 원
- 삼태아 이상: 300만 원
신청: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
기한: 출산일 기준 60일 이내
④ 임산부 교통비 지원 (70만 원)
임산부 1인당 70만 원이 교통 포인트로 지급된다. 대중교통, 유류비 등으로 사용 가능.
신청: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
기한: 임신 12주차부터 출산 후 3개월 이내
⑤ 영아수당 & 부모급여
만 0~1세 아동 대상.
- 0세: 월 100만 원
- 1세: 월 50만 원
신청: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⑥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
산후관리사 가정 방문 서비스. 소득기준 따라 본인부담금 차등.
신청: 노원구 보건소 방문
기한: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신청 가능
⑦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
체외수정, 인공수정 시술비 일부 지원. 연령 제한 없음.
신청: 노원구 보건소 방문
⑧ 임산부 철분제 & 엽산제
임신 16주~출산 전까지 철분제·엽산제 무료 제공.
신청: 산모수첩 지참 후 노원구 보건소 방문
⑨ 출산가정 쓰레기봉투 지원
출생 후 6개월 이내 신청 시 종량제 봉투 100장 제공.
신청: 동주민센터 방문
⑩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(최대 720만 원)
2025년 신규 도입. 무주택가구 출산 시 월세 또는 전세 거주 조건 충족 시 지원.
신청: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
지원: 6개월 단위 180만 원씩 최대 4회 (총 720만 원)
조건: 전세 3억 이하, 월세 130만 원 이하
한눈에 보기
혜택 | 지원내용 | 신청방법 |
---|---|---|
첫만남 이용권 | 200만 원 (국민행복카드) |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|
출산지원금 | 최대 50만 원 (서울사랑상품권) | 복지로 또는 임신출산정보센터 |
서울형 산후조리비 | 단태아 100만, 쌍태아 200만, 삼태아 300만 | 서울맘케어 또는 주민센터 |
임산부 교통비 | 교통포인트 70만 원 | 서울맘케어 또는 주민센터 |
영아수당/부모급여 | 0세 100만 / 1세 50만 |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|
산모·신생아 관리 | 산후관리사 방문 지원 | 노원구 보건소 |
난임 시술비 | 체외·인공수정 일부 지원 | 노원구 보건소 |
철분제·엽산제 | 임신 16주 이후 무료 제공 | 노원구 보건소 |
쓰레기봉투 지원 | 종량제 봉투 100장 | 동주민센터 |
무주택가구 주거비 | 최대 720만 원 |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 |
마무리
2025년 노원구의 임신·출산 지원은 양도 늘고 세부 혜택도 훨씬 정교해졌다. 단순히 한두 개 받는 게 아니라, 조건만 맞으면 다 받는 것도 가능할 정도다.
출산 준비 중이라면 하나씩 꼼꼼히 챙겨보는 게 좋다. 놓치는 순간 그냥 사라지는 혜택이니까.
'니니의 정부지원혜택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성동구 임신·출산 혜택 총정리|출산축하금·보육료·산후조리비 지원 (0) | 2025.04.17 |
---|---|
2025 동작구 임신·출산 혜택 총정리|출산축하금·보육료·산후조리비 총정리 (0) | 2025.04.17 |
장기요양등급 받으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은? 노인요양보험 정부지원 총정리 (0) | 2025.04.10 |
기초연금 vs 국민연금, 차이점 제대로 알기!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연금 가이드 (0) | 2025.03.29 |
에너지바우처, 2025년 신청 방법과 지원 내역 총정리! (0) | 2025.03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