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니니의 경제이야기

증여 vs 상속, 우리 집은 뭐가 유리할까?

by 니니랜드 2025. 3. 18.
반응형

💡 증여 vs 상속,

우리 집은 뭐가 유리할까?


세금 비교 + 가족 상황별 최적 전략 완벽 분석!


1️⃣ 먼저, 증여와 상속의 차이부터 정리!

구분증여상속
정의 살아있는 부모님/가족이 재산을 미리 주는 것 부모님이 사망 후 재산을 물려주는 것
세금 납부자 받는 사람(수증자) 상속받는 사람(상속인)
세금 이름 증여세 상속세

✔️ 증여 = 생전에 주는 것 / 상속 = 사망 후 넘어오는 것!
✔️ 둘 다 재산 무상 이전 → 세금 부과
 


 

2️⃣ 증여세 vs 상속세, 세율 비교! (2025년 기준)

 

📌 증여세 세율 (2025년 개정 버전)

과세표준 (증여재산-공제)세율
20억 원 이하 10%
20억 초과 ~ 30억 20%
30억 초과 40%

➡️ 2025년부터 큰 폭 인하!
20억까지 10% 세율이라 부담 적음

 


 

📌 상속세 세율

과세표준 (상속재산-공제)세율
1억 이하 10%
1억 초과 ~ 5억 20%
5억 초과 ~ 10억 30%
10억 초과 ~ 30억 40%
30억 초과 50%

➡️ 최고세율 여전히 50%까지!
➡️ 기본적으로 증여보다 세율 높음
 
 


 

3️⃣ 공제액 비교도 중요!

증여 - 배우자: 6억 원 공제
- 자녀: 5천만 원 (미성년자 2천만 원)
상속 - 기본 공제: 5억 원!
- 배우자: 최소 5억 ~ 최대 30억 공제 가능
- 미성년자·장애인 추가 공제도 있음

 
✔️ 상속이 공제액은 훨씬 큼!
특히 배우자 공제가 크고, 기본공제도 5억 원이라 유리

 


 

4️⃣ 정리해보면, 어떻게 다른가요?


세율 20억 이하 10%, 최고 40% 최고 50%까지
공제 자녀 5천만 원, 배우자 6억 기본공제 5억 + 배우자 최대 30억
납부 시기 생전에 미리 증여 → 즉시 세금 납부 사망 후 일괄 납부 (6개월 내)
분산 가능 여부 가족 여러 명에게 나눠서 증여 가능 → 절세 가능 한 번에 상속, 분산 어려움
다주택자 종부세 영향 증여하면 가족 명의로 종부세 낮출 수 있음 사망 전까지 부모 명의로 유지

 


 

5️⃣ 케이스별로 뭐가 유리할까?

 

🎯 Case 1) 부모님 자산 10억 이하 + 자녀 1명

  • 상속 시: 기본공제 5억 + 배우자 공제 충분히 활용  → 부담 적음
  • 증여 시: 자녀 5천만 원 공제뿐, 세금 소폭 발생

상속이 유리
 


 

🎯 Case 2) 자산 20억~30억 + 다주택자

  • 증여 시: 2025년 이후 증여하면 20억까지 10% 세율!
  • 자녀들에게 나눠서 증여하면 세금 쪼개기 가능
  • 다주택자의 경우 종부세 절세도 가능!

 
증여가 유리 (특히 2025년 이후)
 


 

🎯 Case 3) 가업(사업체) 승계

  • 상속 시: 가업상속공제 최대 500억 공제 혜택
  • 증여 시: 가업승계 증여세 특례 세율 적용 가능 (최저세율 과세표준 60억→120억으로 확대)

 
사업체라면 전문가 상담 필수! 전략적 활용 필요
 


 

6️⃣ 우리 집은 이렇게 전략 짜자! (Check List)

항목체크

 

자산 규모 10억 이하: 상속으로 충분히 공제 혜택 가능
다주택 여부 종부세 부담 크면 증여로 명의 분산 고려
자녀 수 자녀 많을수록 증여로 나눠서 절세 가능
부모님 연령 고령일 경우 상속세 대비 필요, 사전 증여 검토
가업 승계 여부 가업승계 공제 or 증여 특례 적극 활용 가능성 검토

 
 


 

7️⃣ 한 줄 요약!

10억 이하 자산이면 상속 유리해 보입니다!
고액 자산·다주택자는 2025년 이후 증여가 훨씬 절세하는 방법이구요!

특히 증여 타이밍 & 나누기 전략이 관건이네요
잘 계획해서 절세해봅시다.

 
 

 
 

반응형